단당류의 고리화 과정앞 글에서 단당류들을 개방형 사슬구조를 통해 이해해 보았다. 하지만 실제로 단당류들은 개방형이 아닌 고리형 구조를 가질 때 더욱 안정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생화학적 측면에서 보자면, 우리 인체가 세포안팎으로 모두 수성환경이란 점을 고려할 때, 단당류들이 체내 생리적 수용액 상태에서 거의 항상 고리형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다란 사슬모양의 탄소 골격의 단당류들이 어떻게 둥그런 고리모양으로 바뀌는지 자세히 알아보자. 이에 앞서 고리화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몇 가지 화학적 특성들을 짚어 본다면 고리화과정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유기화학에서 제일 으뜸은 뭐니 뭐니 해도 탄소이다. 하지만, 유기화학을 공부하면 할수록 산소 역시 나름 약방의 감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