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sugar) 관련/혈액응고와 혈전 3

혈액 응고 3: 혈전의 섬유소용해(Fibrinolysis)단계와 응고억제 기전

트롬빈의 이중생활: 응고 촉진성(Procoagulant) Vs 항응고성(Anticoagulant) 피브린 망사로 혈전 형성을 유도하는 트롬빈은 혈관 손상이 없는 정상적인 혈관 내에서는 응고를 억제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트롬빈의 항응고 기능은 주로 트롬보모듈린(Thrombomodulin, TM), C단백질, 그리고 S단백질과 함께 이루어진다. 트롬빈이 혈소판의 수용체(PAR-, 4)에 결합하게 되면 혈소판을 활성화시켜 응고 작용을 촉진하지만, 혈관 내피세포막의 수용체인 트롬보모듈린(thrombomodulin)과 결합하게 되면 C단백질에 대한 친화성이 엄청나게 향상되어 항응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혈소판이 모여 플러그를 형성하여 손상된 부위를 둘러싸고 덮은 후, 손상되지 않은 정상적인 내피세포에 도..

혈액 응고 2: 2차 지혈(트롬빈의 피브린 망사 형성을 통한 혈전 형성)

2차 지혈: 응고 인자의 연쇄적 활성화 경로(응고 캐스케이드)1차 지혈 과정을 통해 혈소판을 대거 불러들여 혈소판플러그를 형성한 상태에서 이들을 더 단단히 조여줄 피브린 망사를 형성하여 안정적인 혈전형성으로 이어지기 위한 다양한 인자들의 활성화 과정을 살펴보자.  1. 외인성 경로(Extrinsic Pathway): 조직인자(TF)로부터 촉발외인성 경로부터 알아보자. 위의 혈관 내피세포 그림을 다시 참고하면, 혈관이 파열되거나 찢어지는 직접적인 손상도 일어날 수 있고 내피세포 아래 중막의 평활근이나 외막의 섬유아세포와 같이 혈류에 노출되지 않는 부위에도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손상이 일어나면 이 세포들은 조직 인자(Tissue Factor, TF)라는 막단백질을 세포막에 발현한다. 조직인자..

혈액 응고 1: 1차 지혈 및 혈소판 플러그 형성

혈액응고가 제때에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과다한 출혈로 우리는 생명을 잃을 수 있다. 과다한 출혈로 혈액량이 떨어지면 혈압이 떨어지고, 중요한 장기로 산소와 영양분이 가지 않아 사망에 이르게 된다. 하지만, 생명을 구하는 혈액 응고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위협이 되는 경우가 생기고 있다. 지혈을 위해 생성되는 혈전(혈액 응고 덩어리)이 지혈과 상관없는 상황에서, 그리고 과다하게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고혈압과 당뇨, 비만을 비롯한 여러 이유로 혈관 내에 혈전이 생겨 혈액이 제대로 순환하지 못하거나 혈관이 좁아져 혈액 공급이 감소하거나 차단되는 허혈(ischemia) 상태로 이어질 수 있고, 혈전이 떨어져 나가 심장이나, 뇌의 혈관을 막기라도 한다면 심근경색, 뇌졸증과 같은 심각한 질환을 초래할 수 있다. ..